다음주부터 프로젝트를 시작하게됬다.
그런데.. 내가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덕트 매니저가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지 몰라서 공부해봤다.

PM의 업무

  • PM은 상품과 고객,시장, 트렌드, 전략, 사업모델같이 다양한 영역을 담당한다.
  • 내부로는 기획자와 개발자 등 중요직무를 맡은 사람들과의 소통을 책임지며,
  • 회사의 상품과 관련된 전략을 책임지고 기간내에 성과를 내야한다. 그래서 개발에 대해서도 알아야한다.
  • 어떤 제품을 선택하고 어떤 기능을 넣을것인지 분석할 줄 알아야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해야하며, 팀원들의 개발 속도와 업무분담도 고려해야한다. 찾아보니 위에적은 것들 말고도 맡은 역할이 정말 많다.

일단 이정도만 알고 적어본다.


우리팀이 선택한 사이트는 Aesop이라는 사이트다.
이 프로젝트에서 나는 어디까지 생각해야할까?

고려해야할 것

1. 제품(Product)

  • 이솝의 제품/기능의 목적은 무엇인가?

    이솝 사이트에 들어갔을때 가장 많이 보인 문구는 식물성과, 친환경이였다.
    그러면서도 피부 친화적이고 빠르게 작용하는 효과를 강조하여 제품의 기능에대해서도 강조한다.
    최근 건강과 환경문제가 부각됨에따라 고객들에게 몸에 해롭지않음을 강조하면서 빠르고 좋은경험을 할 수 있다고 홍보한다.

  •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하게 되는가?

    화장품이라는 특성상 매일매일 들어와서 사지는 않을것이다.
    그래서 주 고객은 꾸준히 구매하는 고객과 선물목적으로 구매하는 고개으로 나뉠꺼같다.

  •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떤 일이 생기는가?

    • 온라인의경우 문의사항으로 연락을 달라한다.
      • 제품이 맞지않아 환불하는경우는 온라인에서만 가능하지만, 오프라인 매장도 운영하고있어 교환받으러 근처의 이솝매장에 방문할 수 도 있다.
  • 이 제품은 우리의 비지니스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 해당 웹서비스가 지니고 있는 가치 증명
  • 사용자/매출/수익 관점에서 어떤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가?

    • 첫 페이지에 들어오면 깔끔한 UI로 어떤 용도의 제품을 찾는지 구분해두고 그에 맞는 제품에대한 설명을하여 유저가 바로 그제품을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또한 스크롤을 내릴때 네브바가 사라져서 보여주고자하는 제품에만 집중허요 유저가 접근한 목적에 맞는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한다.
  • 기능의 성공 혹은 실패 시 어떤 리스크가 있는가?

    • 고객의 불만족으로 이어질 수는 없는지?
      • 고객에 금전적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지?

2. 엔드유저(End-user)

상품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고객과 시장을 이해하고 차별점을 어떻게 가질지 고려해야한다.
이솝이라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사람은 어떤 목적으로 검색하고 들어온것일까?
물품을 사는사람은 어떤 사람이며 어떤 목적으로 사는걸까?

  • 누가 언제 왜 사용하게 되는가?

    • 피부가 민감한 사람, 환경적 요소를 중요시하는 사람, 선물용도로 구매하는사람
    • 고객도 B2B / B2C로 크게 나누다고 할 때, 각 개념은 무엇인지?
    • 그리고 우리 서비스의 End-user는 무엇인지?
  • 해당 기능의 바로 이전에 생기는, 그리고 바로 이후에 올 수 있는 사용자적 행동은 무엇인가?

    • 처음 페이지에 접속하면 위쪽에 유저가 찾을 목록을 카테고리화하여 유저가 사용하고자하는 목적과 부합하는 카테고리가 있을경우 바로 그 카테고리로 확인할 수 있다.

    • 카테고리창을 누르면 바로 세부 카테고리로 분화되어 찾는 제품을 더 원활이 찾을 수 있다.

    • 카테고리창을 누르면 바로 세부 카테고리로 분화되어 찾는 제품을 더 원활이 찾을 수 있다.

      • 세부카테고리에서 바로 제품의 설명과 가격을 보여주고 마음에드는 제품을 카트에 추가할 수 있다.

      • 카트를 누를경우 결제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어 빠른 구매로 이어진다.

-

  • 사용 도중 예외 사항은 없는가?

    • 사용자의 Anomalies 작성 가끔씩 검색바에 멍하니 키보드버튼을 꾹누르는 유저가 있다.
      이때 페이지에 랜더링이 계속 되기때문에 렉이 걸리게되는데,
      이를 방지하기위해 검색시 글자 제한을 두면 좋을거같다.

    • 잘못된 문제는 일으키지는 않는지?

      ❤️기능과 장바구니에 저장 기능이있다.
      ❤️의 경우 회원주문만이 가능하지만, 장바구니에 저장하고 구매하는것은 비회원 주문이 가능하다.
      굳이 이렇게 분할한 이유를 모르겠다.

    • 악성 사용자들이 있지는 않는지?

      사이트에 댓글 기능이 없는 이유가 악성댓글유저를 막기위해서가 아닐까 싶다.
      댓글기능을 구현할 것이라(아직 팀원들과 논의 안함^^;) 악성 댓글 유저를어떻게 관리해야할까?
      해보고싶은것은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검열을 하는것이지만 지금단계에서는 무리일것같고,
      신고기능을 넣어 사이트 관리자가 1회 경고후 댓글 삭제, 2회 밴하는게 좋을거같다.

  • 어떻게 하면 고객 경쟁으로 까지 유도할 수 있을까?

    • 회원가입관련

      • 소셜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하여 사이트에 고객을 좀더 유동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좀더 유저 친화적이였으면 좋겠다.
      • 물론 이솝만의 고유고객을 유치한다는데 있어서는 좋으나 잠시 시간내서 선물용으로 제품을 사러 온 고객을 유치하는데는 소셜로그인도 선택사항에 넣는게 더 좋을 거같다.
      • 내경우 회원가입시 성과 이름을 나누어 가입하는데 이름을 두번넣어야하는게 귀찮아서 가입이 꺼려졌다.
    • 유저의 정보에대한 비대칭성을 완화

      • 온라인상에 구매를 하러왔을때 가장 많이 보는것은 제품의 설명과 다른 사용자의 후기일 것이다. 이솝의 사이트에는 제품에대한 설명과 회사의 추천제품과 약관같은 법조항만이있었다.

      • 고객의 이용후기에 관련된 페이지를 만들거나 상품의 상세페이지에 다른고객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공간을 마련하여 우수 후기고객에게 포인트를 준다던가하여 좀더 사이트를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른 제품구매의사자에게도 정보를 주어 구매하는데 도움을 주어 사이트 이용시 좋은 경험을 유도하고싶다.

3. 기술(Tech) -팀원들과 논의후 작성

단순히 차별점에대한 계획만을 하는것이 아니라 계획된 기간내에 어떤 기술을 사용하여 차별성을 둘 것인지, 그 전략이 기간내에 실행가능한지, 잘 진행되고있는지 확인하고 지원하는 역할도 해야한다.

  • 어떤 기술 스택을 사용할 것인가?
    • 프론트:
      • 백엔드:
  • 왜 이 기술 스택을 현재 이 프로젝트에 사용해야 하는가?
    • 프론트:
      • 백엔드:
  • 각 페이지 및 비즈니스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우리 팀은 어떠한 기술(웹 프로그래밍적) 전략을 생각하고 도입했는가?

  • 우리가 선택한 이 스택의 대채제는 무엇이고, 우리는 어떠한 기회비용속에서 해당 선택을 내리었는가?

  • 기술구현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졌는가?
  • 코드의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은 고려되었는가?

일단 학원에서 준 생각해야할 것을 기준으로 진행할 프로젝트에대해 생각해보았다. 내가 진짜 PM업무를 제대로 할 수 있을까..

카테고리:

업데이트: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