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XPRESS 설치

설치 방법
npm i /npm i express

프로젝트를 진행할 폴더를 만들고 해당 경로로 진입한다.

mkdir myapp
cd my app

npm init -y 명령어를 사용하여 작업할 어플리케이션에 package.json파일을 생성한다. -y를 입력하지 않으면 다양한 내용을 입력하도록 요구하기때문에 -y명령어를 통해서 디폴트 값으로 제공하는 기본 설정 값을 남겨두었다.

{
  "name": "test",
  "version": "1.0.0",
  "description": "",
  "main": "app.js", //index.js -> app.js
  "scripts": {
    "test": "echo \"Error: no test specified\" && exit 1"
  },
  "keywords": [],
  "author": "",
  "license": "ISC"
}

메인이 되는 파일의 명칭은 app.js로 변경하였다.

npm install express

npm 명령어로 express를 설치하여 배포용으로 쓰일 패키지임을 명시하는 package.json파일 안의 “dependency list”에 저장한다.


2. nodemon

nodemon은 node에서 코드수정이 일어났을때 수정사항이 서버에 자동으로 반영될수 있도록 자동으로 서버를 켜주는 패키지이다.

설치 방법

npm i nodemon --save-dev

npm을 사용하여 nodemon을 설치한다.
npm install 뒤에 -g를 붙임으로써 global 변수로 nodemon을 설치 할 수 있다.

npm install nodemon
npm install -g nodemon

설치 후 package.json 내부의 npm script start 명령에 nodemon app.js를 추가한다.
이는 nodemon을 경유하여 app.js 를 실행한다는 의미의 명령어(nodemon app.js)를 추가해주면 npm start 명령어 만으로 nodemon을 실행할 수 있다.

"scripts":{
"start" : "nodemon app.js"

nodemon은 디렉토리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하며 변경사항이 있을때마다 스크립트를 다시 시작한다.
서버를 종료하지 않고 수동으로 재시작 하는 방법은 서버가 실행중인 터미널 창에 rs를 입력하면된다.


3.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현재의 웹 브라우저는 동일한 출처의 주체끼리만 통신하게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키기위한 SOP(Same Origin Policy)정책 때문에 서로 다른 출처의 http통신을 막아두었다.
하지만 백엔드와 프론트 서버가 서로 다른 도메인에서 운용되는 현재의 3세대 웹 서비스 환경에서 동일한 출처에서만 리소스를 주고 받을수 없는것이 현실이다.
여기서 CORS를 사용하는 이유가 나타난다.
CORS를 통해 서로 다른 두개의 origin/domain끼리 데이터를 주고받게 설정하여 필요한 경우에 통신할수 있다.

설치 명령어

npm install cors

태그:

카테고리:

업데이트:

댓글남기기